Spring
-
JDBC란? Hikari CP(히카리 커넥션풀)을 알아보기에 앞서 JDBC의 개념이 무엇인지 알아보면 JDBC는 Java Database Connectivity의 약자로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이다. JDBC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쿼리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B 커넥션 풀이란? 일반적인 데이터 연동과정은 웹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작업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필요할 때마다 연동해서 작업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연결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동시에 몇천명이 데이터 조회를 하는데 매번 데이터베이스와 커넥션을 맺고 푸는 작업을 진행하면 굉장히 비효율적일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DB] Hikari CP 알아보기JDBC란? Hikari CP(히카리 커넥션풀)을 알아보기에 앞서 JDBC의 개념이 무엇인지 알아보면 JDBC는 Java Database Connectivity의 약자로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이다. JDBC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쿼리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B 커넥션 풀이란? 일반적인 데이터 연동과정은 웹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작업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필요할 때마다 연동해서 작업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연결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동시에 몇천명이 데이터 조회를 하는데 매번 데이터베이스와 커넥션을 맺고 푸는 작업을 진행하면 굉장히 비효율적일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2023.04.18 -
풀(Pool)은 무엇인가? 쓰레드 풀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풀(Pool)이라는 것이 대체 무엇일까? 컴퓨터 과학에서의 풀은 자원을 사용하는 시점에 메모리에 올리고, 사용을 완료한 이 후 메모리에서 해제하는 대신 이미 사용할 준비가 된 자원을 메모리 위에 일정량 미리 생성해둔 자원의 집합이다. 자원이 필요할 경우 새로 자원을 생성하는 대신 풀에서 꺼내 사용하고, 사용이 완료된 경우 자원을 해제하는 대신 풀에 다신 반화하는 형태로 사용한다. 미리 자원을 생성해두면 무엇이 좋을까? 자원을 필요할 때 자원의 생성, 파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혹은 소켓 등은 상대방과 연결하기 위해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미리 커넥션을 생성해두고, 이 커넥션을 재..
[운영체제] 쓰레드 풀(Thread Pool) 다루기풀(Pool)은 무엇인가? 쓰레드 풀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풀(Pool)이라는 것이 대체 무엇일까? 컴퓨터 과학에서의 풀은 자원을 사용하는 시점에 메모리에 올리고, 사용을 완료한 이 후 메모리에서 해제하는 대신 이미 사용할 준비가 된 자원을 메모리 위에 일정량 미리 생성해둔 자원의 집합이다. 자원이 필요할 경우 새로 자원을 생성하는 대신 풀에서 꺼내 사용하고, 사용이 완료된 경우 자원을 해제하는 대신 풀에 다신 반화하는 형태로 사용한다. 미리 자원을 생성해두면 무엇이 좋을까? 자원을 필요할 때 자원의 생성, 파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혹은 소켓 등은 상대방과 연결하기 위해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미리 커넥션을 생성해두고, 이 커넥션을 재..
2023.04.18 -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란 단순히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다. 즉,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실행 중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메모리 등의 자원 그리고 스레드로 구성된다. 스레드(thread)란? 스레드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모든 프로세스에는 한 개 이상의 스레드가 존재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스레드를 가지는 프로세스를 멀티스레드 프로세스(multi-threaded process)라고 한다. 멀티스레드의 장점 - cpu의 사용률을 향상 -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사용자에 대한 응답성이 향상 - 작업이 분리되어 코드가 간결해짐 다만, 멀티스레드 ..
[운영체제] Thread란 무엇인가?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란 단순히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다. 즉,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실행 중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메모리 등의 자원 그리고 스레드로 구성된다. 스레드(thread)란? 스레드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모든 프로세스에는 한 개 이상의 스레드가 존재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스레드를 가지는 프로세스를 멀티스레드 프로세스(multi-threaded process)라고 한다. 멀티스레드의 장점 - cpu의 사용률을 향상 -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사용자에 대한 응답성이 향상 - 작업이 분리되어 코드가 간결해짐 다만, 멀티스레드 ..
2023.04.17 -
솔로프로젝트를 하면서 다시 복기한 내용 각 클래스마다 궁금했던 내용을 적어봤다. 1. Entity @Id 는 기본키 설정을 해주는 에너테이션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GenerationType.Identity 값을 추가할 때마다 기본키가 자동으로 1씩 올라간다 class이름이나 column이름이 sql문 명령어랑 이름이 겹치면 테이블 생성이 안된다 2. Repository JpaRepository를 상속 받으면 왜 리턴타입을 optional로 감싸줘야할까 그건 JpaRepository의 find 메서드를 참조하고 있는crudRepository가 리턴타입을 optional로 감싸고 있기 때문 3. Service Optional.ofnull..
[Spring MVC] JPA기반 데이터 엑세스 계층 구현솔로프로젝트를 하면서 다시 복기한 내용 각 클래스마다 궁금했던 내용을 적어봤다. 1. Entity @Id 는 기본키 설정을 해주는 에너테이션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GenerationType.Identity 값을 추가할 때마다 기본키가 자동으로 1씩 올라간다 class이름이나 column이름이 sql문 명령어랑 이름이 겹치면 테이블 생성이 안된다 2. Repository JpaRepository를 상속 받으면 왜 리턴타입을 optional로 감싸줘야할까 그건 JpaRepository의 find 메서드를 참조하고 있는crudRepository가 리턴타입을 optional로 감싸고 있기 때문 3. Service Optional.ofnull..
2023.02.14 -
OAuth 2란? 특정 애플리케이션(Client)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직접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신뢰할 만한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GitHub, Google, Facebook 등)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대신 처리해 주고 Resource에 대한 자격 증명용 토큰을 발급한 후, Client가 해당 토큰을 이용해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사용하게 해주는 방식입니다. - 동작 방식 Resource Owner가 Client 역할을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에게 OAuth2 인증을 요청 Client는 Resource Owner가 Resource Owner의 계정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Resource Owner는 로그인 인증 진행하고..
[Spring Security] OAuth2 인증OAuth 2란? 특정 애플리케이션(Client)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직접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신뢰할 만한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GitHub, Google, Facebook 등)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대신 처리해 주고 Resource에 대한 자격 증명용 토큰을 발급한 후, Client가 해당 토큰을 이용해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사용하게 해주는 방식입니다. - 동작 방식 Resource Owner가 Client 역할을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에게 OAuth2 인증을 요청 Client는 Resource Owner가 Resource Owner의 계정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Resource Owner는 로그인 인증 진행하고..
2023.01.20 -
세션 기반 자격 증명 방식 세션 기반 자격 증명 방식은 서버 측에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를 세션 형태로 세션 저장소에 저장 하는 방식이다. 특징 세션은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 측 세션 저장소에서 관리한다. 생성된 사용자 세션의 고유 ID인 세션 ID는 클라이언트의 쿠키에 저장되어 request 전송 시,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증명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세션 ID만 클라이언트 쪽에서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사용한다. 서버 측에서 세션 정보를 관리하므로 보안성 측면에서 조금 더 유리하다. 서버의 확장성 면에서는 세션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세션 데이터가 많아지면 질수록 서버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SSR(Server Side Rendering)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에 ..
[Spring Security] JWT 인증(Authentication)세션 기반 자격 증명 방식 세션 기반 자격 증명 방식은 서버 측에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를 세션 형태로 세션 저장소에 저장 하는 방식이다. 특징 세션은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 측 세션 저장소에서 관리한다. 생성된 사용자 세션의 고유 ID인 세션 ID는 클라이언트의 쿠키에 저장되어 request 전송 시,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증명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세션 ID만 클라이언트 쪽에서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사용한다. 서버 측에서 세션 정보를 관리하므로 보안성 측면에서 조금 더 유리하다. 서버의 확장성 면에서는 세션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세션 데이터가 많아지면 질수록 서버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SSR(Server Side Rendering)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에 ..
2023.01.18 -
1. JPA란? 2.엔티티 매핑 기본 @Entity 에너테이션과 @Table 에너테이션 사용 - 엔티티와 테이블 간의 매핑 1) 기본키 직접 할당 전략 @Id 에너테이션만 사용하고 직접 emtitymanager persist로 입력해줘야함 2) identity 전략 @Id, @GeneratedValue 에너테이션 사용하고 generationtype을 identity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완료되면 기본키 할당 3) sequence 전략 @Id, @GeneratedValue 에너테이션 사용하고 generationtype을 sequence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완료되기 전에 기본키 할당 4) auto 전략 generationtype을 auto로 지정하면 jpa가 데이터베이스의 dialect에 따라서 적절한..
[Spring MVC] JPA 기반 데이터 액세스 계층1. JPA란? 2.엔티티 매핑 기본 @Entity 에너테이션과 @Table 에너테이션 사용 - 엔티티와 테이블 간의 매핑 1) 기본키 직접 할당 전략 @Id 에너테이션만 사용하고 직접 emtitymanager persist로 입력해줘야함 2) identity 전략 @Id, @GeneratedValue 에너테이션 사용하고 generationtype을 identity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완료되면 기본키 할당 3) sequence 전략 @Id, @GeneratedValue 에너테이션 사용하고 generationtype을 sequence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완료되기 전에 기본키 할당 4) auto 전략 generationtype을 auto로 지정하면 jpa가 데이터베이스의 dialect에 따라서 적절한..
202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