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베스트셀러 기능 구현 👉 최근검색어 기능 구현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소셜로그인 외에 모든 기능을 구현했고 배포도 완료되었는데 프론트에서 서버 배포가 http로 돼있어서 네트워크 에러가 나타난다고 하여 https로 적용시켜달라는 요구를 했다. 전 프로젝트에서는 http로 통일을 해서 배포를 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줄 알았는데 들어보니 http로 배포를 하는 것은 좋은 방향이 아니라고 해 무료 도메인을 발급받은 후에 aws에서 ssl키를 발급받으려 했는데 검증 대기중으로만 뜨고 발급이 되지 않았다.. 구글링을 통해 해야하는 설정을 모두 해줬음에도 불구하고 되지 않아서 난감했다. 역시 aws는 나랑 안맞는다.. 그런데 문제는 프론트가 ..
[Dev-log] 일인칭 서재 23-06-27💪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베스트셀러 기능 구현 👉 최근검색어 기능 구현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소셜로그인 외에 모든 기능을 구현했고 배포도 완료되었는데 프론트에서 서버 배포가 http로 돼있어서 네트워크 에러가 나타난다고 하여 https로 적용시켜달라는 요구를 했다. 전 프로젝트에서는 http로 통일을 해서 배포를 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줄 알았는데 들어보니 http로 배포를 하는 것은 좋은 방향이 아니라고 해 무료 도메인을 발급받은 후에 aws에서 ssl키를 발급받으려 했는데 검증 대기중으로만 뜨고 발급이 되지 않았다.. 구글링을 통해 해야하는 설정을 모두 해줬음에도 불구하고 되지 않아서 난감했다. 역시 aws는 나랑 안맞는다.. 그런데 문제는 프론트가 ..
2023.06.27 -
💪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comment 조회, 수정, 삭제 기능 구현 👉 aws ec2 배포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며칠동안 면접을 다니느라 오랜만에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comment에 대한 crud 기능은 구현이 완료됐는데 ngrok으로 로컬서버를 배포하는 중 클라이언트에서 axios를 사용했을 때 cors에러와 api 결과가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는 에러가 발생해서 해당 에러에 대해 찾아보자 ngrok이 https로 자동으로 처리해주다보니 알라딘 api를 사용할 때 보안적으로 문제가 있고 서버에 첫 방문할 때 visit site를 눌러야하는 창이 뜨는데 해당 이유로 인해 응답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상황이 발생해 aws를 이용해서 배포를 실시했다. 🧐 내..
[Dev-log] 일인칭 서재 23-06-22💪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comment 조회, 수정, 삭제 기능 구현 👉 aws ec2 배포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며칠동안 면접을 다니느라 오랜만에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comment에 대한 crud 기능은 구현이 완료됐는데 ngrok으로 로컬서버를 배포하는 중 클라이언트에서 axios를 사용했을 때 cors에러와 api 결과가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는 에러가 발생해서 해당 에러에 대해 찾아보자 ngrok이 https로 자동으로 처리해주다보니 알라딘 api를 사용할 때 보안적으로 문제가 있고 서버에 첫 방문할 때 visit site를 눌러야하는 창이 뜨는데 해당 이유로 인해 응답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상황이 발생해 aws를 이용해서 배포를 실시했다. 🧐 내..
2023.06.22 -
💪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comment 등록 구현 👉 도서 정보 핸들링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항상 자신이 있었는데 생각보다 그렇지만도 않다는 느낌을 받는 하루였다. 사실 이미 기획이 2달정도 된 프로젝트에 뒤늦게 참여를 하게 됐는데 생각보다 기능에 대한 정의가 정확하게 돼있지 않아서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하지만 직접 정의서를 작성하면서 이해를 했다고 생각했는데 프론트엔드와 의사소통을 하면서 내가 이해한게 잘못됐나?라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되었다. 도서 데이터에 대한 핸들링을 서버에서 모두 해달라고 요청을 받았는데 왜 이게 필요한지 어떠한 기능에 사용을 하는지 즉, 핵심을 말해주지 않고 돌려서 말을 하니 서비스에 대한 그..
[Dev-log] 일인칭 서재 23-06-16💪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comment 등록 구현 👉 도서 정보 핸들링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항상 자신이 있었는데 생각보다 그렇지만도 않다는 느낌을 받는 하루였다. 사실 이미 기획이 2달정도 된 프로젝트에 뒤늦게 참여를 하게 됐는데 생각보다 기능에 대한 정의가 정확하게 돼있지 않아서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하지만 직접 정의서를 작성하면서 이해를 했다고 생각했는데 프론트엔드와 의사소통을 하면서 내가 이해한게 잘못됐나?라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되었다. 도서 데이터에 대한 핸들링을 서버에서 모두 해달라고 요청을 받았는데 왜 이게 필요한지 어떠한 기능에 사용을 하는지 즉, 핵심을 말해주지 않고 돌려서 말을 하니 서비스에 대한 그..
2023.06.16 -
💪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알라딘 도서 API 모듈화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사실 도서api모듈화는 다른 팀원분께서 맡은 역할이었는데 알라딘 api를 쓰기 전 네이버로 정해져서 네이버에 대한 모듈화는 다른 팀원분께서 해주셨었다. 하지만 오늘 알라딘 도서api로 변경이 되었고 외부 api를 많이 써보지 않은 내가 한번 경험해보고 싶다고 하여 맡게 되었다. 항상 다른 사람이 모듈화해놓은 코드만 보다보니 이해하기가 어려웠는데 오픈api 명세서를 보고 url, path, query만 잘 맞춰주면 된다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제 외부 api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두려움이 조금 사라진 것 같다. 🧐 내일 내가 프로젝트에 기여해야 할 일은? 👉 comment 등록 구현
[Dev-log] 일인칭 서재 23-06-15💪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알라딘 도서 API 모듈화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사실 도서api모듈화는 다른 팀원분께서 맡은 역할이었는데 알라딘 api를 쓰기 전 네이버로 정해져서 네이버에 대한 모듈화는 다른 팀원분께서 해주셨었다. 하지만 오늘 알라딘 도서api로 변경이 되었고 외부 api를 많이 써보지 않은 내가 한번 경험해보고 싶다고 하여 맡게 되었다. 항상 다른 사람이 모듈화해놓은 코드만 보다보니 이해하기가 어려웠는데 오픈api 명세서를 보고 url, path, query만 잘 맞춰주면 된다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제 외부 api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두려움이 조금 사라진 것 같다. 🧐 내일 내가 프로젝트에 기여해야 할 일은? 👉 comment 등록 구현
2023.06.15 -
💪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Mybatis 사용법 익히기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역시나 현재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할 동안은 JPA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다뤘다. 그래서 사용해보지 않은 Mybatis 이용해서 개발해보기로 했다. 개발하면서 느낀점은 확실히 사용하기 편한건 jpa였다. 엔티티 클래스를 만들어서 에너테이션만 달아주면 자동으로 영속화를 해주니 객체지향적으로 개발하는 데에만 신경을 쓰면 돼서 편하지만 Mybatis는 테이블 관계나 로직들을 직접 쿼리문으로 작성해줘야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번거롭고 개발보다 데이터베이스에 신경을 더 많이 쓰게 되는 것 같았다. 이것 또한 익숙해지지 않을까 싶다. 🧐 내일 내가 프로젝트에 기여해야 할 일은? 👉 알라딘 도서 API ..
[Dev-log] 일인칭 서재 23-06-14💪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Mybatis 사용법 익히기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역시나 현재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할 동안은 JPA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다뤘다. 그래서 사용해보지 않은 Mybatis 이용해서 개발해보기로 했다. 개발하면서 느낀점은 확실히 사용하기 편한건 jpa였다. 엔티티 클래스를 만들어서 에너테이션만 달아주면 자동으로 영속화를 해주니 객체지향적으로 개발하는 데에만 신경을 쓰면 돼서 편하지만 Mybatis는 테이블 관계나 로직들을 직접 쿼리문으로 작성해줘야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번거롭고 개발보다 데이터베이스에 신경을 더 많이 쓰게 되는 것 같았다. 이것 또한 익숙해지지 않을까 싶다. 🧐 내일 내가 프로젝트에 기여해야 할 일은? 👉 알라딘 도서 API ..
2023.06.15 -
💪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Swagger 사용법 익히기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현재까지 프로젝트를 하면서 API 명세서는 직접 문서화를 하거나 Spring rest docs를 사용해서 문서화를 진행해왔는데 전자는 초안 작성과 서버가 수정됐을 때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고 오타가 날 확률이 많고 후자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후에 문서화가 자동으로 되는 것이기에 정확성이 뛰어나지만 역시나 테스트 코드 작성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그래서 요새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swagger를 사용해보기로 결정했고 공식문서와 구글링을 통해 공부하며 적용시켜봤는데 에러를 많이 겪었다. 겪은 에러에 대해서는 블로그에 포스팅을 했고 결국 성공했..
[Dev-log] 일인칭 서재 23-06-12💪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Swagger 사용법 익히기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현재까지 프로젝트를 하면서 API 명세서는 직접 문서화를 하거나 Spring rest docs를 사용해서 문서화를 진행해왔는데 전자는 초안 작성과 서버가 수정됐을 때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고 오타가 날 확률이 많고 후자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후에 문서화가 자동으로 되는 것이기에 정확성이 뛰어나지만 역시나 테스트 코드 작성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그래서 요새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swagger를 사용해보기로 결정했고 공식문서와 구글링을 통해 공부하며 적용시켜봤는데 에러를 많이 겪었다. 겪은 에러에 대해서는 블로그에 포스팅을 했고 결국 성공했..
2023.06.15 -
💪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ERD 작성 👉 우리의 서비스와 맞는 도서 Open API 찾기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 ERD를 작성하는데 comment를 등록할 때 책의 배경색을 같이 저장을 해야하는데 comment테이블에 책의 배경색을 저장하기에는 comment 와 책 배경색은 관련이 없고 book테이블에 저장을 하기에는 책마다 여러개의 코멘트가 달릴 수 있고 해당 코멘트마다 배경색은 달라야 하기에 문제가 되었다. 해당 부분은 bookcolor라는 테이블을 따로 유지해서 회원과 책 테이블과 연관을 지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로 설계를 했다. 🧐 내일 내가 프로젝트에 기여해야 할 일은? 👉 Swagger 사용법 익히기 👉 Mybat..
[Dev-log] 일인칭 서재 23-06-11💪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ERD 작성 👉 우리의 서비스와 맞는 도서 Open API 찾기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 ERD를 작성하는데 comment를 등록할 때 책의 배경색을 같이 저장을 해야하는데 comment테이블에 책의 배경색을 저장하기에는 comment 와 책 배경색은 관련이 없고 book테이블에 저장을 하기에는 책마다 여러개의 코멘트가 달릴 수 있고 해당 코멘트마다 배경색은 달라야 하기에 문제가 되었다. 해당 부분은 bookcolor라는 테이블을 따로 유지해서 회원과 책 테이블과 연관을 지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로 설계를 했다. 🧐 내일 내가 프로젝트에 기여해야 할 일은? 👉 Swagger 사용법 익히기 👉 Mybat..
2023.06.15 -
💪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 우리의 서비스와 맞는 도서 Open API 찾기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새로운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팀에 합류를 했는데 피그마를 이용해 대략적인 그림은 그려져 있지만 어떠한 기능이 필요한지 문서화가 돼있지 않아서 전체적인 기능을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 같아서 피그마를 보며 직접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했다.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뿌려줄 때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어떤 타입으로 보내야하는지를 정하기 위해서 같이 회의를 하며 작성하면 좋았겠지만 팀 프로젝트가 처음이어서 해당 부분을 혼자 작성하게 됐다.. 그래도 규모가 큰 프로젝트가 아니어서 크게 오래걸리진 않았다. 🧐 내일 내가 프로젝트에..
[Dev-log] 일인칭 서재 23-06-10💪오늘은 어떻게 프로젝트에 기여했나요?? 👉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 우리의 서비스와 맞는 도서 Open API 찾기 😥 오늘의 프로젝트에서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새로운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팀에 합류를 했는데 피그마를 이용해 대략적인 그림은 그려져 있지만 어떠한 기능이 필요한지 문서화가 돼있지 않아서 전체적인 기능을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 같아서 피그마를 보며 직접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했다.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뿌려줄 때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어떤 타입으로 보내야하는지를 정하기 위해서 같이 회의를 하며 작성하면 좋았겠지만 팀 프로젝트가 처음이어서 해당 부분을 혼자 작성하게 됐다.. 그래도 규모가 큰 프로젝트가 아니어서 크게 오래걸리진 않았다. 🧐 내일 내가 프로젝트에..
2023.06.15